반응형 심리학19 소화계와 물질대사 소화계와 물질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생존에 필수적인 음식은 물질대사 과정을 통해서 열과 에너지로 전환되어 조직의 성장이나 재생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합니다. 하지만 음식이 세포에서 사용되기 전에는 반드시 혈액에 흡수되어야 하므로 적합한 형태로 변환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변환 과정을 '소화'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소화계의 기능 및 관련 질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소화계의 기능 소화계의 기능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음식은 가장 먼저 입 안에서 침과 섞이며 식괴라 불리는 부드럽고 둥근 덩어리 형태로 변하게 됩니다. 이것은 위로 향하는 무방향성 근육운동인 연동운동으로 식도를 통과하게 됩니다. 위는 다양한 위액을 분비하는데 이 속에는 이후의 소화 단계를 위한 펩신과 염산도 포함되어 있습니.. 2024. 2. 9. 신체 체계 중 호흡계 신체 체계 중 호흡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호흡은 세 가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며 혈액의 조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합니다. 신체는 음식의 대사를 위해 산소가 필요하고, 대사 중에 산소는 음식물 속의 탄소 원자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를 생성하게 됩니다. 호흡계는 흡기를 통해 산소를 흡수하고 호기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입니다. 1. 호흡계의 구조와 기능 호흡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기는 코와 입을 통해 들어와서 인두와 후두를 지나 기도로 향합니다. 기도는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고 근육 관으로 후두 아래로 확장되는 형태를 보입니다. 하단 끝에서 기관지로 불리는 두 가지 관으로 나뉘게 됩니다. 각 기관지는 폐로 들어가며 여기서 다시 작은 2차 기관지들.. 2024. 2. 8. 신체의 체계 중 심혈관계 신체의 체계 중 심혈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심혈관계(cardiovascular system)는 혈관, 혈액, 심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온몸으로 혈액을 전달하는 운송체계 역할을 합니다. 혈액은 폐에서 산소를 공급받아서 이를 각 조직과 기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각 조직에서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폐로 전달합니다. 또한 혈액은 소화관으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아 각 세포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 영양분은 각 세포의 성장과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게 됩니다. 혈액은 각 세포에서 발생한 노폐물을 신장으로 운반하며 운반된 노폐물은 신장이 소변으로 만들어 배설하게 합니다. 혈액은 내분비샘으로부터 각 장기로 호르몬을 운반하기도 하며, 피부 표면으로 흐르면서 열을 전달하는 역할로 체온 조절 기능을 합니다. 심혈관계인 .. 2024. 2. 7. 신체의 체계 중 내분비계 내분비계는 신경계를 도와 몸의 활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내분비계는 혈관으로 호르몬을 분비해서 표적기관의 변화를 유발하는 수많은 내분비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분비계와 신경계는 서로 독립적이지 않으며 서로의 활동을 흥분시키거나 억제합니다. 신경계에서 발생하는 신체 반응은 일찍 발생하고 짧게 지속되지만, 내분비계에서 발생하는 신체 반응은 천천히 발생하고 오래 지속된다는 차별성이 있습니다. 내분비계는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 의해 조절됩니다. 뇌의 위치에 기반하면 뇌하수체는 2개의 엽을 가집니다. 후엽 뇌하수체는 옥시토신(출산 시 젖 분비기 시에 진통을 조절하고, 사회적 소속감과 연관 있음), 바소프레신 혹은 향이뇨 호르몬(ADH, 신장에서 물의 흡수를 조절)을 분비합니다. 전엽뇌하수체는 성장과 관련된.. 2024. 2. 6.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